만약 마지막 3번째 링크를 하지 않은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패스워드를 계속 물어볼 겁니다.
그래서 3번째 링크까지 모두 진행해달라고 하는 겁니다.
만약 3번째 링크를 하셨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자동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
그리고 위 이미지처럼 폴더 열기를 해서 원하는 폴더 위치를 열어줍니다.
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vscode 아이콘에 마우스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최근 항목에 등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렇게 나오면 거의 다 왔습니다.
아까 켜둔 vscode를 모두 닫아 줍니다.
그리고 다시 vscode아이콘에 우클릭해서 최근항목에 아까 켜둔 내용을 클릭 후 Process Hacker를 확인해 봅니다.
그러면 이렇게 code.exe라고 여러 가지가 나오게 됩니다.
이 중 하나에 의해 동시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는데 여기서 딱 느낌이 오는 게 있을 겁니다.
저 같은 경우
"C:\Users\USER\AppData\Local\Programs\Microsoft VS Code\Code.exe" --folder-uri "vscode-remote://ssh-remote%2B7b22686f73744e616d65223a22526173706265727279205049342034474228ec99b8ebb68029227d/home/pi"
이네요
(다른 분들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.)
해당 부분을 우클릭해서
Copy "Command line"을 클릭합니다. (이미지 참조)
그리고 바탕화면에 '새로 만들기' -> '바로 가기' 합니다.(이미지 참조)
그리고 아까 복사했던 'command line'을 붙여 넣기하고 '다음' -> '마침'을 눌러 바로가기를 만들어 줍니다.
그러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만들어지고
실행해보면 아까 SSH연결했던 게 한 번에 가는걸 볼수 있습니다.
--- 참고 ---
참고로 최근 항목을 클릭해서
Process Hacker 2에Command line 확인한것들은
거의 대부분 바로가기를 만들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
일부 프로그램은 여러 개 실행돼서 찾기 힘들 거는 있긴 하지만요ㅎ;;(예 : VScode, Chrome 등...)
p.s
이로써 vscode Remote-ssh 바로가기로 한번에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렸습니다.
여기서 참고로 컴퓨터 부팅 시 바로 실행하고 싶을 경우 시작프로그램에 넣거나
스케줄링에서 아까 복사했던 commend line을 입력하시면 부팅 시에 한 번에 실행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.
현업에서 PC 부팅시 한번에 ssh를 연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다가 좋은 방법이 있어 소개하게 되었습니다.